고전 지식240 이야기 고사성어 39 비방지목/비육지탄/빈계지신/빈자일등 誹 謗 之 木헐뜯을 비 헐뜯을 방 어조사 지 나무 목 비방지목: 비방하는 글을 적은 나무: 불만을 나무에 써붙여 임금이 보게 함. 堯요 임금은 전설상의 인물로, 이상적인 정치를 펼친 성군으로 평가한다.그는 어질고 박식하며, 자비롭고 교만하지 않아 백성들의 존경을 한몸에 받았다.요임금은 자신의 정치 중 그릇된 부분을 지적받기 위해 궁궐 다릿목에 나무 네개를 엮은 기둥을 세우게 했다.이것이 이른바 비방지목誹謗之木으로, 헐뜯는 나무라는 뜻이다.정치에 불만이 있는 자가 이 나무 기둥에 불평하고 싶은 것을 적도록 한 것이다.요임금은 또한 감간지고敢諫之鼓와 진선지정進善之旌을 설치했다.감간지고는 궁궐 문 앞에 설치한 북으로, 정치에 잘못된 점이 있으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두드리도록 한 것이며, 진선지정은 깃발을 세워 .. 2021. 1. 5. 이야기 고사성어38 부화뇌동/분서갱유/불구대천/붕정만리 附 和 雷 同붙을 부 화목할 화 우레 뢰 같을 동 부화뇌동: 우레 소리에 맞추어 천지 만울이 함께 울린다: 자기 생각이나 주장 없이 남의 의견이나 행동이 덩달아 따름 논어 자로편에는 "공자 말하기를 군자는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부화뇌동하지만 화합하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군자는 남을 자기처럼 생각하므로 남과 조화를 이루지만 화합하며, 소인은 이익을 좇기 때문에 이익을 같이 하는 사람과 같이 행동하지만 조화를 이루지는 못한다는 뜻이다.예기 곡례편에는 "다른 사람의 말을 자기 말처럼 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지 말라.성현들의 행동을 모범으로 삼고, 선왕의 가르침에 따라 말하라." 는 말이 나온다.이것은 아랫사람이 지켜야 할 예절에 대해 말한 것이다.옛날 사람들은 거대한 천둥소.. 2021. 1. 4. 이야기 고사성이 37 병입고황/보원이덕/복수불반/부중지어 病 入 膏 肓병 병 들 입 기름 고 명치끝 황 병입고황: 병이 고황에 들다: 병이 깊어져 고치기 어려움 춘추시대 진나라의 경공은 즉위하자, 도안고를 사구에 임명했다.도안고는 이를 기화로 평소 사이가 좋지 않던 명문 조씨 일족을 대역죄로 몰아 죽였다.십여년 뒤의 어느 날, 경공의 꿈에 귀신이 무서운 얼굴로 나타나서"나의 자손을 죽였으니 용서할 수 없다. 너를 죽이러 왔다." 하며 이방 저방으로 쫓아다녔는데,한참 쫓기다 깨니 꿈이었다. 경공이 점쟁이를 불러 해몽을 시켰더니,"옛날 秦진나라에 공훈을 세운 사람의 조상인 듯 합니다." 하고 아뢰고 나서 그 원혼의 저주 때문에 얼마 살지 못하고 죽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놀란 경공은 진나라의 명의 고완을 불렀다. 도착하기도 전에 꿈을 꾸니병이 두 동자로 변하여 "고.. 2021. 1. 2. 이야기 고사성어 36 백전백승/백전불태/백주지조/백중지세/병문졸속 百 戰 百 勝 일백 백 싸울 전 일백 백 이길 승 백전백승: 백번 싸워 백번 이기다 손자병법으로 유명한 손무는 춘추전국 시대 齊제나라 사람으로 온나라 왕 합려를 섬겼다. 그의 저서 손자 모공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승리에는 두 종류가 있다. 공격하지 않고 얻는 승리와 공격을 통해 얻는 승리가 그것이다.전자가 최상책이고 후자는 차선책이다. 아무리 백번 싸워 백번 이긴다고百戰百勝해도그것은 최상의 승리로 볼 수 없다. 싸우지 않고 적군을 굴복시키는 것이야말로 가장 좋은 방법인 것이다.최상책은 적이 계획하는 바를 미리 알고 이를 봉쇄하는 것이다. 그 다음의 상책은 적의 동맹 관계를 끊고고립시키는 것이며, 세번쨰로는 적과 싸우는 것, 마지막 최하책은 모든 수단을 다 쓴 뒤 강행하는 공성攻城이다."백전백승은 .. 2021. 1. 1.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60 다음